(adsbygoogle = window.adsbygoogle || []).push({});
"우리도 어릴 때는 큰 키였어." 통상 할아버지보다는 아버지가 키 컸고, 아버지보다는 아들이 크가 큰 것이 일반적이였다.
하지만 앞으로는 이런 말을 계속 할 수 있을까. 한국 교육부에서 해마다 발표하는 평균 키를 보자.
가장 최근 자료인 2019년 만 17세 남학생 평균 키는 173센치로 1964년보다 10센치 가까이 늘었다.
2005년 이후 17세 남학생 평균 키는 제자리걸음이다.
여학생의 평균 키도 161센치 근처를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만 17세 이후에도 키가 계속 크는 사람은 드물다는 점에서 한국인 평균 키는 성장을 멈췄다고 할 수 있다.
무엇 때문일까. 일본 문부과학성도 해마다 학생들의 키를 조사해 발표한다.
2019년 일본 17세 남학생 평균 키는 170센치, 여학생 평균 키는 157센치로 한국보다 약간 작다.
이 현상은 1993년부터 이어져왔다. 하지만 최근 몇해동안 일본 학생은 평균 키의 성장을 유지하는 반면, 한국인들의 평균 키는 뒷걸음질을 시작할 조짐이 보이고 있다.
지난 1957년에 태여난 한국 남성은 1970년에 143센치를 기록했다가 1975년에 평균 키가 166센치였다.
이들의 아들딸 뻘인 1987년생은 중학교 때 154센치에서 고중 졸업 때 173센치였다. 수치를 추산해 보면 성장 속도가 20% 정도 느려진 것이다.
이에 대해 한국과 일본 남학생 평균 키에 대해 연구한 일본의 모리 교수는 "현재 추세대로 간다면, 10년 안에 한국 남학생 평균 키가 2~3센치 줄어들 것"이라고 내다봤다.
반면 일본 남학생들의 성장 속도는 1998년 이후 거의 변화가 없었다.
이런 원인에 대해 교수는 "일본 학생들의 평균 키가 정체되기 시작했을 때 제일 큰 변화는, 과일과 채소 섭취가 줄어들어던 것"이라며 한국도 비슷한 상황이라고 설명한다.
1996년과 2016년 사이를 비교하면, 우유와 달걀을 포함한 동물성 먹거리는 16% 늘었지만, 채소 섭취는 3분의 1 수준으로 줄었다. 그 결과 체질량만 늘고 있다. 키는 제자리인데 살만 찌고 있다는 뜻이다.
일제시기였던 1929년 서울에서 태여난 모리 교수는 "이 기간에 한국 청소년들 곡물 섭취는 30% 줄었다.
한국인에게 곡물은 쌀과 거의 같은 개념으로, 그 때는 김치가 제일 중요한 채소였다.
모리 교수는 "결국 현시대 청소년들이 고기만 많이 먹고 쌀밥에 김치와 같은 채소는 꺼리게 되면서 키가 크지 않고 있는 것"이라고 분석했다.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