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sbygoogle = window.adsbygoogle || []).push({});
애플은 2022년 1월 29일 예상을 상회하는 호실적을 내놓으며 주가가 7% 상승했다.
28일(현지시간) 뉴욕증시에서 다우지수는 전날보다 564.69포인트(1.65%) 오른 3만4725.47로 마감했다.
S&P500지수는 105.34포인트(2.43%) 오른 4431.85로 거래를 마쳤다.
나스닥지수는 417.79포인트(3.13%) 오른 1만3770.57로 장을 마쳤다.
애플은 27일(현지시간) 지난해 4분기(애플 기준으로 1분기)에 전년 동기 대비 11% 증가한 1239억달러의 매출액을 기록했다고 월스트리트저널(WSJ)과 경제매체 CNBC가 보도했다. 분기 매출액으로는 사상 최대치다.
순이익도 전년 동기 대비 25% 증가한 346억달러(약 41조6000억원)로 집계됐다.
주당 순이익으로 환산하면 2.10달러인데 이 역시 사상 최대였던 작년 4분기의 1.68달러를 경신한 것이다. 이 같은 실적은 월가의 컨센서스(전망치 평균)를 뛰어넘은 것이다.
애플은 지난해 3분기 공급망 문제로 매출액에서 60억달러 규모의 타격을 입었다면서 4분기에 피해가 더 클 것이라고 예상한 바 있다.
팀 쿡 애플 최고경영자(CEO)는 이날 실제 4분기에 피해가 커졌다고 밝혔지만 기록적인 실적을 냈다.
제품별로 보면 태블릿 PC인 아이패드를 제외한 전 품목에서 애널리스트들의 기대를 웃도는 매출을 올렸다.
간판 제품인 아이폰 부문은 전년보다 9% 증가한 716억달러(약 86조2000억원)의 매출 실적을 냈다.
앱스토어와 애플 뮤직, 애플TV+(플러스), 애플뉴스 등의 구독 서비스를 합친 서비스 부문 매출은 24%나 증가한 195억달러(약 23조5000억원)로 집계됐다.
전력 효율과 성능을 크게 높인 독자 설계 칩 'M1'을 탑재한 PC·노트북을 내놓은 데 힘입어 맥 부문도 25% 늘어난 109억달러(약 13조1000억원)의 매출을 올렸다.
반면 애플 아이패드 매출은 14% 줄어든 73억달러(약 8조8000억원)에 그쳤다.
팀 쿡 CEO는 거의 전 제품군에서 공급망 이슈를 겪었다고 하면서도 앞으로 상황이 개선될 것으로 내다봤다.
애플의 팀쿡은 가장 큰 문제는 칩 공급이라며 최첨단 분야에서 우리는 잘 해내고 있다고 언급했다.
애플의 팀쿡은 아이폰 판매가 9% 늘어난 데 대해선 공급에 제약이 있었음에도 판매증가가 이루어진것에 대해 자랑스럽게 생각한다고 밝혔다.
애플의 아이패드 매출이 감소하고 시장 예상치를 밑돈 것과 관련해선 상당한 공급 제약 때문이라고 전해지고 있다.
댓글 영역